2021 프로그램

2021년 1월 22일
대사 인터뷰 시리즈
주한 영국 대사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2021년 첫 행사로 사이먼 스미스 (H.E. Simon Smith) 주한 영국 대사와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2020년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 '올해의 대사상'을 수상하기도 한 스미스 대사는 영국의 코로나 백신 현황, 영국 내 K팝의 영향력 외에도, 고향의 맛을 떠올리게 하는 자신만의 이색 간식 레시피를 공유하였습니다.

2021년 1월 27일
대사 인터뷰 시리즈
주한 터키 대사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에신 에르친 (H.E. Ersin Erçin) 주한 터키대사와 대사 인터뷰 시리즈를 이어갔습니다. 2017년부터 주한터키대사로 지내온 에르친 대사는 한국과 터키가 '형제의 나라'라는 점을 강조하며, 양국간 경제협력 외에도 여의도 앙카라공원(자매공원)과 같은 문화교류를 강조하였으며, 그 외에도 터키의 코로나 현황과 국경일 역사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전했습니다.

2021년 2월 18일
온라인 회의
주제: 한국과 동남아시아의 관계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한국과 동남아시아의 관계"라는 주제로 2021년 첫 웨비나를 진행하였습니다. 회의에는 말레이시아 국립대학(UKM)의 후추핑 (Chiew-Ping Hoo) 박사와 이재현 아산정책연구원 아세안-대양주 연구센터 선임연구원이 참여하였으며,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의 선임 기고자인 메이슨 리치 (Mason Richey) 한국외대 국제정치학 교수가 진행을 맡았습니다. 그들은 동남아 국가들의 경제발전과 신남방정책등과 같은 한-아세안 관계 및 협력, 그리고 현재 발생하고 있는 미얀마 사태가 동남아 지역과 한국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깊이있는 토론을 진행하였습니다.

2021년 3월 4일
대사 인터뷰 시리즈
주한 에티오피아 대사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2021년 3월 4일 쉬페로 쉬구테 (H.E. Shiferaw Shigutie Wolassa) 주한 에티오피아대사와 화상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주로 커피로 잘 알려진 에티오피아는 사실 한국전쟁 당시 UN군 산하 지원군을 파병한 유일한 아프리카 국가였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 외에도 쉐구테 대사는 에티오피아의 커피산업, 교육현황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하여 많은 의견을 전하였습니다.

2021년 3월 9일
대사 인터뷰 시리즈
주한 유럽 대사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2021년 3월 9일 마리아 카스티요 페르난데즈 (H.E. Maria Castillo-Fernandez) 주한 유럽대사와 함께 화상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스페인 국적의 카스티요 대사는 오랜 경력을 가진 한국 전문가로, 패션에 관심이 많고 한국의 여러 명소들을 여행하셨다고 합니다. 이 외에도 카스티요 대사는 경제와 문화교류를 아우르는 한국과 유럽연합과의 관계, 아시아와 유럽의 여성인권, 그리고 한국의 친환경 정책들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전하였습니다.

2021년 4월 14일
대사 인터뷰 시리즈
주한 호주 대사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2021년 4월 14일 캐서린 레이퍼 (H.E. Catherine Raper) 주한 호주대사와 함께 화상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레이퍼 대사는 신임 전 호주에서 코로나19 대응팀을 전담했던 이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초의 여성 주한 호주대사이기도 한 그녀는 여성인권신장과 전세계의 판데믹 대응, 나아가 한국-호주 수교 60주년을 맞아 양국의 협력과 발전적인 미래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전했습니다.

2021년 4월 19일
화상 인터뷰
2021년 4월 17일부터 19일까지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아시아소사이어티 로스앤젤레스 지부와 아시아소사이어티 박물관과의 협업을 통해 Asia Society at the Movies 행사에 영화 천문 상영 행사를 개최하였습니다. 본 행사는 영화 제작사인 롯데엔터테인먼트의 후원으로 개최되었으며, 상영회 마지막 날에는 천문을 만든 허진호 감독과의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인터뷰는 포브스의 K미디어 기자인 조안 맥도널드 (Joan MacDonald)가 진행하였습니다.

2021년 4월 20일
월례 강연
주제: 핵 그늘 아래, 북한 군사력에 대한 평가
2021년 4월 20일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전인범 전 육군 특전사령관과 안드레이 랜코브 (Andrei Lankov) 국민대 교수를 모시고 "핵 그늘 아래, 북한 군사력에 대한 평가"라는 주제로 월례 강연을 개최하였습니다. 전인범 전 사령관은 약 40년간 군에서 복무한 이력을 가지고 있으며, 그는 "전쟁에서 중요한 것은 군사력의 과시가 아닌 실제 싸움에서 이길 수 있는 능력"이라고 말하며 한-미 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북한 김일성대학에서 공부를 한 이력이 있는 랜코브 교수는 자신의 경험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북한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내놓았습니다.
![[WEBINAR] BTS and Beyond](/sites/default/files/styles/horizontal_blog/public/2021-04/%EA%B7%B8%EB%A6%BC1.png)
2021년 4월 21일
합동 온라인 회의
주제: 한국의 K-Pop 문화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2021년 4월 21일 "BTS와 그 너머"를 주제로 온라인 화상회의를 주최하였습니다. 아시아소사이어티 LA 지부와 협업을 통해 기획된 이번 행사에는 정재윤 APAC Music Industry 대표와 김영대 음악평론가, Tamar Herman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문화부 선임기자와 조수광 DFSB 콜렉티브 대표이사가 참여하여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방탄소년단(BTS) 현상과 K-Pop 문화가 세계시장에서 인정받는 요인 등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2021년 5월 13일
대사 인터뷰 시리즈
주한 캐나다 대사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2021년 5월 13일 마이클 대나허 (H.E. Michael Danagher) 주한 캐나다대사와 화상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오랜 경력의 외교관인 대나허 대사는 앞서 두 번의 한국 근무 경력이 있는 한국 전문 외교관으로, 이번 인터뷰를 통해 한국전쟁 속 캐나다 동맹군의 참전 역사부터 코로나 대응, 그리고 한국과 캐나다의 문화적 교류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의견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2021년 5월 18일
월례 강연
주제: 한국 증권시장의 미래와 글로벌 금융 생태계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2021년 5월 18일 존 리 (John Lee) 메리츠자산운용 대표이사를 모시고 "한국 증권시장의 미래와 글로벌 금융 생태계"라는 주제로 월례 강연을 개최하였습니다. 금융업계에서 30년 넘게 종사한 투자 전문가인 존 리 대표는 그간 그가 쌓아온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며, 향후 한국 경제가 나아갈 방향과 그 안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전략적 통찰에 대해 심도 깊게 얘기하였습니다. 혼 강연의 진행은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 이사이신 김영준 아시아여성대학 이사 겸 지원재단 이사장께서 맡아주셨습니다.

2021년 5월 31일
신임대사 환영 만찬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2021년 5월 31일 롯데호텔 서울에서 리오갈라(Leo Gala) 시리즈의 일환으로 신임대사 환영만찬 행사를 개최하였습니다. 본 행사에는 2020년 10월 이후 새롭게 신임을 받은 7명의 대사님들과 15명의 여성대사님들께서 참여하였습니다. 이 외에도 신동빈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 회장과 이홍구 명예회장 등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의 이사진과 회원들이 참여하여 그들의 신임재정을 축하하였으며, 향후 활발한 문화교류와 협력을 위한 뜻깊은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2021년 6월 25일
온라인 회의
주제: 비대칭전력과 한반도: 분쟁 가능성과 대책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한국전쟁 발발 71주년을 기념하여 "비대칭전력과 한반도: 분쟁 가능성과 대책"이라는 주제로 웨비나를 개최했습니다.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의 선임 기고자인 메이슨 리치 (Mason Richey) 한국외대 국제정치학 교수가 진행을 맡은 본 회의에는 김영준 한국국방대학교 교수와 이상호 대전대학교 교수, 다니엘 핑크스턴 (Daniel Pinkston) 트로이 대학교 강사가 참여하여 핵무기 외에도 화생방 무기, 사이버 안보 등의 북한의 다양한 비대칭 전력에 대한 견해와 의견을 나눴습니다.

2021년 6월 28일
대사 인터뷰 시리즈
주한 이스라엘 대사
2021년 6월 28일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아키바 토르 (H.E. Akiva Tor) 주한 이스라엘대사를 모시고 대사 인터뷰 시리즈를 이어갔습니다. 2020년 11월에 새롭게 신임재정을 받은 토르 대사는 한국과 이스라엘간 외교관계와 경제협력 외에도 이스라엘 정부의 스타트업 지원 사업과 공격적인 코로나19 백신 정책 등 다양한 주제에 걸쳐 심도 깊은 의견을 전해주셨습니다.

2021년 7월 15일
대사 인터뷰 시리즈
주한 르완다 대사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2021년 7월 15일 야스민 달릴라 암리 수에드 (H.E. Yasmin Dalila Amri Sued) 주한 르완다대사와 2021년 하반기 첫 대사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암리 수에드 대사는 2019년부터 주한르완다대사를 역임하고 있으며, 이번 인터뷰에서는 르완다의 독립역사, 르완다의 성평등 노력, 르완다의 주요 수출품 중 하나인 커피 등 다양한 주제를 폭넓게 다루었습니다.

2021년 8월 11일
대사 인터뷰: Eat Taste Learn 시리즈
주한 뉴질랜드 대사관
2011년 8월 11일,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가 쿠킹클래스 시리즈를 Eat Taste Learn으로 새롭게 단장하였습니다. 세계 여러나라의 맛있는 요리를 알리고, 건강한 음식문화를 나누기 위해 기획한 본 프로그램의 첫 게스트로는 뉴질랜드 대사관의 필립 터너 (H.E. Philip Turner) 대사와 그레이시 멘돈사 (Gracy Mendonca) 대사관저 셰프가 출연해 주셨습니다. 그들은 뉴질랜드 특산품인 마누카 꿀과 뉴질랜드를 상징하는 과일인 키위를 활용한 달콤한 크림 푸딩 레시피를 선보였습니다.

2021년 8월 16일
대사 인터뷰: Eat Taste Learn 시리즈
주한 싱가포르 대사관
앞서 뉴질랜드 대사관의 필립 터너 (H.E. Philip Turner) 대사가 선보인 마누카 꿀 크림 푸딩에 이어, 싱가포르 대사관과 대사 부부께서 2021년 8월 16일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의 Eat Taste Learn 시리즈에 참여해 주셨습니다. 이번 쇼케이스에서는 에릭 테오 (H.E. Eric Teo) 주한싱가포르대사와 그의 아내인 김민재 여사께서 요리사로 직접 참여하여 동남아의 대표 재료인 굴라멜라카 (Gula Melaka)를 활용한 싱가포르의 대표 간식 온데온데 (Ondeh Ondeh)와 쿠에코수의 (Kueh Kosui)를 소개해 주셨습니다.

2021년 8월 17일
화상 인터뷰
지난 4월 영화 천문 상영회 및 허진호 감독과의 인터뷰 행사에 이어,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Asia Society at the Movies를 통해 영화 증인 상영회를 8월 15일부터 17일까지, 마지막 날에는 영화의 제작자인 이한 감독과의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이한 감독은 이번 인터뷰를 통해 우리가 몰랐던 영화 제작의 뒷이야기와 영화를 통해 말하고자 했던 메시지, 그리고 차기 프로젝트에 대한 계획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이번 인터뷰는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의 김윤희 지부장이 진행하였습니다.

2021년 8월 27일
2021 Voice of Youth Presentation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2021년 8월 27일 제4회 Voice Of Youth (VOY) 학생연구 발표행사를 진행하였습니다. 2018년부터 진행되어 온 본 프로그램은 지금까지 우수한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의 독자적인 연구를 지원해 왔으며, 올해에도 총 5명의 학생들이 각자 관심 가지고 있는 분야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학생들은 약 한 학기동안 진행된 연구와 그 결과를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으며, 6명의 심사위원의 심사 결과 서울대 국제대학원의 윤세라 학생이 1위를, 일본 게이오 대학의 박진완 학생이 2위를 차지하였습니다.
(본 행사는 코로나19사태 및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에 따라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습니다.)

2021년 9월 27일
대사 인터뷰 시리즈
주한 몽골 대사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2021년 9월 27일 남스라이 에르덴토야(H.E. Erdenetuya Namsrai) 주한 몽골대사를 모시고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남스라이 에르덴토야 대사는 오랜 기간 한반도 외교에 대한 전문성을 쌓아왔으며, 이번 인터뷰는 한국어로 진행되었습니다. 본 인터뷰에서는 한국과 몽골의 문화적 교류부터 동북아 평화와 번영을 위한 양국의 협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였습니다.

2021년 9월 30일
온라인 회의
주제: 아프가니스탄의 위기 상황과 인도적 지원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아프가니스탄의 위기 상황과 인도적 지원"이라는 주제로 웨비나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웨비나는 카불에서의 미군 철수 이후 아프가니스탄의 급변하는 정치적 상황 속에서 여성과 아동에게 행해지는 인권 탄압에 대한 전문적인 의견을 구하고자 진행되었습니다. 본 회의에 참석해주신 신카이 자히네 카로하일(H.E. Shinkai Zahine Karokhail) 前 주캐나다 아프가니스탄대사와 오준 세이브더칠드런코리아 이사장을 패널로 모시고 깊은 의견을 공유하였으며, 이후 질의응답을 통해 청중들과 교류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2021년 10월 11일
ASK-Y
Asia Society Korea Youth (ASK-Y) 첫번째 세션이 시작되었습니다.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8개국에서 온 10명의 청년들이 글로벌 지속가능성의 영역에서 공공 및 업계 리더들과 교류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이번 세션에서는 "코로나19 시대, 지속가능성과 청년의 역할에 대한 재고"를 주제로 참가자들의 적극적인 패널토론이 이루어졌습니다.

2021년 10월 25일
ASK-Y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젠더와 평등을 논의하고자 "우리는 왜 평등하지 아니한가"라는 주제로 세션2를 이어나갔습니다. 해당 세션에는 마리아 테레사 디존-데베가 (H.E. Maria Theresa B. Dizon-De Vega) 주한 필리핀대사, 에릭 테오 (H.E. Eric Teo Boon Hee) 주한 싱가포르대사, 시몬 고스비 (Symone Gosby) UN Foundation 세대평등업무팀 협력관이 게스트로 초청되어 ASK-Y 펠로우들과 깊은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2021년 11월 4일
온라인 회의
주제: 한반도의 현주소: 정치, 안보, 경제 분야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한반도의 현주소: 정치, 안보, 경제 분야" 웨비나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번 웨비나는 김두연 신미국안보센터 연구원, 랜달 존스 (Dr. Randall Jones) 한미경제연구소 비상주연구원, 데이비드 티자드 (Dr. David Tizzard) 서울여자대학교 조교수 안보, 경제, 정치 분야의 전문가와 함께 함으로써 한반도의 현주소를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해 보았습니다. 또한 해당 논의는 최근 출판된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2032 and Beyond에 실린 연구를 바탕으로 남북 관계와 동아시아에서 한반도의 위치에 대한 계몽적인 시각을 제시했습니다.

2021년 11월 8일
ASK-Y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ASK-Y 세션3에서 "무엇이 지구를 아프게 하는가"라는 의제를 두고 기후변화와 환경을 다루었습니다. 게스트 스피커로는 해당 세션에는 케이트 클레이턴 (Kate Clayton) 라 트로브 아시아 연구직원과 알리스테어 리치 (Alistair Ritchie) 아시아소사이어티 정책연구소 아태지역 지속발전 부장이 자리하였습니다. 현재 우리가 처한 지구환경 위기를 논의하고, 미래의 기후변화를 완화하기 위해 필요한 공동 노력에 대해 생각을 모았습니다.

2021년 11월 12일
대사 인터뷰 시리즈
주한 필리핀 대사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2021년 11월 12일 마리아 테레사 디존-데베가(H.E. Maria Theresa B. Dizon-De Vega) 주한 필리핀대사를 초청하여 대사 인터뷰를 이어갔습니다. 이번 인터뷰에서는 마리아 테레사 디존-데베가 대사님과 함께 한국과 필리핀의 동맹 관계부터 복싱, 농구를 비롯한 필리핀 인기 스포츠 종목까지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안보, 경제, 문화, 명소를 포함한 필리핀의 전분야에 대한 대사님의 인사이트를 알아볼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2021년 11월 16일
화상 인터뷰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2021년 11월 16일 오빌 셸 (Orville Schell) 아시아소사이어티 미·중관계센터 소장을 초청하여 단독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인터뷰를 통해 최근 한국이 겪고 있는 요소수 대란을 비롯한 미중 패권경쟁이 야기한 글로벌 공급망 혼란 속에서 한국의 역할을 재조명하는 등 미국 최고의 중국 전문가 중 한 사람의 인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었습니다.

2021년 11월 22일
ASK-Y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ASK-Y 세션 4에서 "우리는 왜 서로를 이해할 수 없을까"라는 의제를 두고 문화, 엔터테인먼트 그리고 미디어를 주제로 지속가능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해당 세션의 게스트 스피커로는 DFSB Kollective의 대표이사 버니 조 (Bernie Cho), 아난트대학교 유네스코 박물관 및 지속가능유산개발 의장 아마레스와 갈라 교수 (Dr. Amareswar Galla), 그리고 무형문화연구원 소속 홍신화 (Shinwha Hong) 연구원께서 함께 해주셨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보유하고 있는 유무형 문화유산과 엔터테인먼트 업계를 넘나들며 글로벌 리더들의 생생한 경험담을 통해 방탄소년단부터 우리 고유의 무형문화유산의 힘까지 많은 것을 탐구하고 문화 교류와 세계시민 양성에 필요한 문화적 공감의 중요성에 대해 생각을 모았습니다.

2021년 11월 24일
온라인 회의
주제: 호주와 한국: 중견국 외교의 미래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한-호주 수교 60주년을 기념하여 아시아소사이어티 호주센터와 공동으로 "호주와 한국: 중견국 외교의 미래"를 주제로 웨비나를 진행했습니다.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센터 김윤희 (Yvonne Kim) 지부장이 사회자로 참석한 가운데 국립외교원 최원기 (Wongi Choe) 교수와 연세대학교 제프리 로버트슨 (Jeffrey Robertson) 교수 등 두 명의 아시아소사이어티 한-호주 펠로우와 더불어 호주 퍼스 미국-아시아센터 헤일리 채너 (Hayley Channer) 선임정책연구원 등이 자리하여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번영을 위한 한국과 호주의 역할과 전략적 도전, 그리고 한국과 호주 등 역내 중견국들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2021년 12월 6일
ASK-Y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교육과 지속 가능성에 관련해 ‘아직도 교육은 영향을 미치는가?’를 주제로 5번째 ASK-Y 세션을 열었습니다.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센터 김윤희 (Yvonne Kim) 지부장은 주한 베트남 대사 응우옌 부 뚜 (Nguyen Vu Tu), 주한 인도 대사 스리프리야 란가나탄 (Sripriya Ranganathan), Vinaj Ventures의 파예 사하이 (Faye Sahai) 이사를 초대하여, 왜 우리 시대가 마주한 몇몇 난제들에서 교육이 아직 답이 될 수 있는지, 어떻게 학생들을 낙오시키는 교육 시스템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Enspire의 공동 창업자인 유화평 (Hwa Pyung Yoo) 서울대학교에서 석사 과정을 밟고 있는 재스민 박 (Jasmine Park), 대만 원지대학교에서 학부 과정에 재학 중인 가브리엘라 마이테 스우자 피네도 (Gabriela Mayte Souza Pinedo)가 스피커로 함께하는 가운데, 패널 토론은 교육의 역할, 전통적인 학습 기관과 직업 인력에서 요구되는 기술 격차, 코로나 19의 교육에 대한 영향, 기술이 우리를 발전시키기 위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습니다.

2021년 12월 17일
대사 인터뷰 시리즈
전 주한 EU 대사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대사 인터뷰 시리즈의 일환으로, 미하엘 라이터러 (Michael Reiterer) 前 주한 EU 대사를 인터뷰했습니다. 공식적인 위치에서 은퇴한 후, 그는 서울을 떠나면서 그리워하게 된 것들과 더불어 그의 새로운 관심사가 무엇인지 소식을 전해오고 있습니다. 풍부하고 폭넓은 정치 및 외교 경험으로, 그는 경제, 안보, 쌍무적 관계에 있어 유럽과 대한민국 관계의 비전을 제시합니다.

2021년 12월 20일
ASK-Y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는 정치, 안보, 국제적 지속가능성에 대해 마지막 ASK-Y 세션을 진행했습니다. 마지막 논의는 베이징과 워싱턴의 경쟁 관계, 그리고 나머지 국가들이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탐구하며, “왜 우리는 어울릴 수 없을까?”라는 의제로 진행되었습니다. 아시아소사이어티 코리아센터 김윤희 (Yvonne Kim) 지부장,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에서 중국학을 강의하는 존 델러리 (John Delury) 교수, 주한 이스라엘 대사 아키바 토르 (Akiva J. Tor)는 대만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 우리가 어떻게 베이징을 이해하고 협력해야 하는지, “navigating shared futures”라는 아시아소사이어티의 설립 목적에 대한 답변이 무슨 의미를 지니는지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습니다.